2./Financial Risk Management (10) 썸네일형 리스트형 FRM ::: #10. 벨류에이션, 파생상품 가치평가는 어떻게 하는 것일까? 오늘은 전 글에 이어서 선도계약 파생상품의 벨류에이션 즉, 가치평가에 대해서 다뤄보려고합니다 이 벨류에이션은 자신이 투자하려는 상품의 적정 가치를 찾고자 할 때 쓰이는 프로세스 중 하나이고 자주 언급되는 용어입니다 오늘은 비록, 아주 기초 개념을 배우는 것이지만 벨류에이션의 본질을 잘 알고 자신만의 투자 전략에 활용한다면 더할 나위 없이 좋은 도구가 될 것입니다 이제 본론으로 돌아와서 다양한 시점에서 선도계약 가치를 벨류에이션하는 경우를 살펴볼까요? 크게 세 가지로 구분시킬 수 있겠습니다 첫 번째는 계약시점 t=0 계약시점에는 선도가격의 결정을 하는 시기이고 이 때, 선도계약의 가치는 0 입니다 두 번째는 현재시점 t=t 계약시점과 만기시점 사이의 어떤 시점인 현재시점 가치평가는 현재시점에서 선도계약의 .. FRM ::: #9. 파생상품 선도계약, 가격 결정 프로세스 지난 글에서 보유비용모형 (Cost of Carry Model) 은 선도가격을 현물가격과 현물을 만기까지 보유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합한 금액으로 결정한다고 했습니다 여기서 현물가격은 기초자산(Underlying Asset) 의 현재가격 입니다 또 보유하는데 필요한 비용인 보유비용 (Cost of Carry) 은 차입하여 매입하는 경우 (대출에 따른 이자비용 발생) 자기자본으로 매입하는 경우 (기초자산 매입에 따른 기회비용 발생) 두 가지가 있습니다 또한 이 모형은 세 가지를 가정하는데 1. 무위험이자율(r) 로 차입이나 대출이 가능 --> 리스크에 대하여 보상을 요구하지 않는 것이라고 볼 수 있죠 2. 공매(Short-selling) 에 대한 제한이 없고 3. 세금과 거래비용이 없다 금융지식 ::: #8.. FRM ::: #8. 파생상품 선도계약의 특성 살펴보기 선도계약, 선물계약, 스왑계약, 옵션계약 중 선도계약에 대해서 조금 더 심도 있게 다뤄보려고 합니다 오늘은 그 중 선도계약의 특성에 대해서 이야기해볼게요 ..! 파생상품의 종류와 투자 목적에 대한 글은 지난 #7을 참고해주세요 금융지식 ::: #7. 파생상품이란? 파생상품의 종류와 투자 목적 드디어 파생상품 (Derivatives) 이라는 것에 대해서 다루게 되었습니다 ! 파생상품에 들어가기 앞서, 금융상품을 이루고 있는 증권과 계약이라는 개념을 살짝 다루고 넘어가겠습니다 금융상품 (Financial Instrum.. loben39028.tistory.com 금융시장은 거래되는 것과 정산되는 시점에 따라 스팟 마켓(Spot market) 과 포워드 마켓 (Foward market) 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 FRM ::: #7. 파생상품이란? 파생상품의 종류와 투자 목적 드디어 파생상품 (Derivatives) 이라는 것에 대해서 다루게 되었습니다 ! 파생상품에 들어가기 앞서, 금융상품을 이루고 있는 증권과 계약이라는 개념을 살짝 다루고 넘어가겠습니다 금융상품 (Financial Instrument) 에는 크게 증권과 계약으로 구분됩니다 증권 (Securities) 은 권리와 의무를 증명하는 문서(증서) 형태의 금융상품입니다 대표적인 예로 주식 (Stock) 과 채권 (Bond) 로 이루어져있죠 계약 (Contract) 이란, 용어 그대로 계약서의 형태로 존재하는 금융상품 입니다 파생상품이라는 금융상품은, 이 계약 형태의 상품입니다 그럼 오늘의 주제인 파생상품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하게 살펴보면 파생상품이란, 전통적인 금융상품의 움직임에 의해 그 가치가 결정되는 금융상품.. FRM ::: #6. 헤지펀드의 투자 전략 살펴보기 (2) 금융지식 ::: #5. 헤지펀드의 투자 전략 살펴보기 (1) 로 유명한 전설적인 헤지펀드 롱텀캐피털 매니지먼트 ( LTCM : Long Term Capital Management ) LTCM 은 주로 전세계 채권의 프리미엄과 디스카운트를 이용한 차익거래와 엄청난 레버리지를 거.. loben39028.tistory.com 저번 글은 헤저펀드의 전통적인 전략들 중 5가지를 살펴보았습니다! 오늘은 9가지 전략 중 남은 4가지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최대한 쉽고 간략하게 설명해보겠습니다.. ! 6. Fixed Income Arbitrage 고정금리채 차익거래 보통 채권의 만기가 길어질수록 더 높은 금리를 요구하게 됩니다 만기 내에 부도가 날 확률이 더 높아지기 때문이죠 그러한 원리를 이용한 전.. FRM ::: #5. 헤지펀드의 투자 전략 살펴보기 (1) 로 유명한 전설적인 헤지펀드 롱텀캐피털 매니지먼트 ( LTCM : Long Term Capital Management ) LTCM 은 주로 전세계 채권의 프리미엄과 디스카운트를 이용한 차익거래와 엄청난 레버리지를 거는 전략으로 엄청난 수익을 거두어 들였습니다 1998년 초 당시 동남아시아와 러시아의 채권가격 이상으로 엄청난 손실을 입고 엎친데 덮친 격으로 러시아의 모라토리엄 선언으로 망해버렸지만.. 보통 채권 차익거래는 수익률이 굉장히 낮지만, 레버리지를 적용하면 수익을 극대화 시킬 수 있습니다 아래 기사는 러시아 모라토리엄 당시, LTCM의 상황을 시간순으로 정리한 기사입니다! 관심 있으시면 한 번 읽어보셔요 ㅎ 천재들의 파산⑪…모스크바의 공습 - 오피니언뉴스 (8월 21일) 러시.. FRM ::: #4. 헤지펀드의 특징, 펀드매니저들은 보수를 어떤 식으로 받을까? 먼저 ,포스팅에 앞서 계속해서 나올 금융지표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 어려운 개념은 아니니까 간략하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 베타( β) 는 보통 시장에 대한 민감도(sensitivity) 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간단한 예로, 시장의 수익률이 1% 증가 또는 감소할 때 , A 라는 주식의 수익률이 0.5% 증가하거나 감소하면 이 A 라는 주식은 시장의 수익률에 0.5 정도 민감하다고 판단합니다. 그리고 이를 '베타계수 0.5' 라고 표시합니다 헤지펀드는 시장이 어떻든 간에 최고의 수익률을 목적으로 합니다 뮤추얼펀드의 베타가 평균적으로0.8에서 1.2 정도로 시장과 거의 흡사하게 움직이지만 헤지펀드는 베타를 0에서 0.2~0.4 까지 타겟팅합니다 뮤추얼 펀드에 대한 개념정리가 필요하시다면 저번 포스트를 .. FRM ::: #3. 뮤추얼 펀드 Mutual Fund 와 ETF 개념정리 우리나라에도 한 때 펀드가 정말 인기가 많았습니다 그 펀드 열풍의 중심에는 금융계에서 살아있는 신화라고 불려지는 미래에셋금융의 창업자, '박현주' 님이 계셨습니다 절대 미래에셋증권 관련인은 아닙니다..! 그 성공신화가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기사를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 [미래에셋 대해부]④ 전설의 시작…국내 첫 뮤추얼펀드 ‘박현주 1호’의 탄생 1998년 12월 14일 삼성증권 본사 내 영업점 앞. 점포가 문을 여는 시각인 오전 9시가 가까워질수록 미래에셋자산운용 박현주 사장의 입술은 .. biz.chosun.com 자,, 투자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펀드' 라는 말은 정말 많이 들으셨을겁니다 그럼 펀드는 무엇이고 어떻게 구성되어져 있을까요? 오늘의 핵심주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불특정 다수의 고객들이 돈.. 이전 1 2 다음